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습훈련2

초등교육) 왜 훈련시키지 않는가? 참 변화 없는 거 같은 우리나라 교육현장은 사실 엄청나게 민감하게 유행에 반응한다. 내가 처음 임용이 되었을 때 학부모들은 내가 기본 생활 습관과 예절을 잘 가르쳐주신다고 너무 감사하다고 했다. 5년쯤 지났을 때 창의성 교육이 우리나라 교육의 최대 목표가 되면서 어느샌가 아이들에게 생활습관이나 예절을 강조하는 교사는 내 아이의 창의성을 죽이는 아주 못된 교사가 되어가고 있었다. 모든 교육 활동앞에는 반드시 창의성이 붙었고 창의성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물론 창의성은 무척 중요하다. 문제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학생들이 하고 싶은 대로 두는 것이 창의성을 살리는 길이라고 생각하는 풍조가 생겼고 창의성만 살릴 수 있다면 모든 게 다 해결되는 것처럼 행동하였다. 아이가 하는 자유분방한 행동이 무조.. 2025. 8. 1.
초등 학급운영) 아이들이 쉬는 시간에 몰려 다니며 자꾸 사고를 쳐요. 학기말에 되어서 그런지 아이들이 몰려다니며 자꾸 싸우고 떠들고 사고를 쳐서 골치가 아픈데 어찌하면 좋겠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솔루션 : MAKE THEM BUSY. 요즘 아이들은 여럿이 모여 놀았던 경험이 부족하다. 자유시간이 주어지면 혼자 핸드폰을 하거나 친구와 같이 있다면 같이 핸드폰을 한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핸드폰을 할 수 없다. 자유시간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일단 의미 없이 몰려다녀보는 것이고 딱히 할 일이 없으니 시간 죽이다 사고 치거나 싸운다.   아이들이 즐겁게 집중할 무엇인가를 주자. 교실은 공부와 놀이의 장이다. 1. 놀이도 공부다. 목적을 갖고 규칙을 지켜 제대로 놀 수 있도록 지도해 보자. 다양한 놀이 도구를 주고 모둠끼리 사이좋게 놀 수 있도록 지도하거.. 2024. 11. 22.
728x90
반응형